< “노트북·데스크탑 속 먼지가 성능을 갉아먹는다?! 집에서 셀프로 내부 먼지 싹 청소한 후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트북·데스크탑 속 먼지가 성능을 갉아먹는다?! 집에서 셀프로 내부 먼지 싹 청소한 후기”

by 노엘1021 2025. 6. 9.
반응형

컴퓨터가 느려진다고 무조건 포맷부터 하시나요? 혹시 ‘하드웨어’ 속에 먼지가 한가득 쌓여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해보셨나요?
오늘은 제가 직접 노트북과 데스크탑 내부 먼지를 셀프로 제거하면서 겪은 시행착오와 함께, 초보자도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청소 루틴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1. 왜 갑자기 컴퓨터가 느려졌을까? 원인은 ‘먼지’

어느 날, 부팅 시간이 길어지고 팬 소리가 갑자기 커졌습니다.
인터넷도 버벅이고, 간단한 문서 작업조차 렉이 걸리는 상황이 반복되자 포맷까지 했는데, 증상이 그대로더군요.
결국 데스크탑 케이스를 열어봤고, CPU 쿨러와 파워서플라이에 먼지가 이불처럼 덮여 있었던 것!

노트북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작동할 때마다 바람 빠지는 듯한 팬 소리가 났고, 하판을 열자마자 내부에 고운 먼지와 털 뭉치가 잔뜩 쌓여 있었습니다.


2. 청소 전에 반드시 확인할 것

✅ 노트북/데스크탑 청소 전 체크리스트

  • 전원 완전 차단 (플러그 분리 or 배터리 제거)
  • 정전기 방지 (알루미늄 창틀 접촉 또는 정전기 방지 장갑 사용)
  • 기기별 분해 가능 여부 확인 (AS 보증 여부도 함께 체크)

주의: 아직 보증기간이 남아 있다면, 직접 분해 청소는 주의하세요. 특히 노트북은 나사만 풀어도 무상수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3. 셀프 먼지 제거 준비물

초보자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도구로 충분합니다.

준비물설명
드라이버 세트 노트북, 데스크탑 하판 분해용
미니 청소기 (USB형) 흡입력이 너무 강한 진공청소기는 비추천 (부품 손상 우려)
브러시 또는 메이크업 브러시 부드럽고 정전기 없는 소재 추천
압축 공기 스프레이 깊숙한 곳에 낀 먼지를 날릴 때 사용
면봉+알코올 팬이나 히트싱크 등 정밀 부품 주변 오염 제거에 사용
 

4. 노트북 내부 청소 순서 (초보자용)

① 전원 차단 후, 하판 분리

노트북 제조사마다 나사 위치가 다르니 유튜브나 공식 문서를 참고해서 조심스럽게 개봉합니다.

② 쿨러·히트싱크 주변 먼지 제거

  • 브러시로 먼지를 털어낸 후,
  • 압축 공기로 날려줍니다.
  • 팬 날개는 면봉+알코올로 살살 닦아줍니다.

③ 공기 통로 청소

노트북 뒤쪽 통풍구 안쪽도 브러시나 스프레이로 먼지를 제거하세요. 이 부분이 막히면 발열이 심각해집니다.

④ 조립 후 작동 테스트

조립 후 이상 소음이나 부팅 오류가 없다면 성공입니다.


5. 데스크탑 내부 청소 순서 (고난이도 아님!)

① 사이드 패널 분리 후 시야 확보

일단 눈에 보이는 쿨러, 파워서플라이, 그래픽카드에 얼마나 먼지가 쌓였는지 확인하세요.

② 먼지 제거는 ‘위→아래’ 순서

먼지가 아래로 떨어지므로 위쪽 파워서플라이, 메인보드, RAM, 그래픽카드 → 하단 팬 순으로 청소합니다.

③ 파워서플라이 외부 먼지 제거

파워는 분해하지 않고, 겉면 통풍구만 스프레이로 먼지를 불어내는 정도로 진행합니다.

④ 그래픽카드 탈거 시 주의

초보자라면 그래픽카드까지 분리하지 않고 외부만 청소하세요. 내부 팬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러시로 살살 털어주세요.


6. 청소 후 성능 변화는?

청소만 했을 뿐인데 놀라운 변화가 있었습니다.

항목청소 전청소 후
부팅 시간 2분 이상 40초 내외
팬 소음 지속적인 고주파음 거의 들리지 않음
온도 (아이들 상태) 60~70도 40~50도
게임 프레임 드랍 빈번히 발생 거의 없음
 

쿨링 성능이 회복되니 CPU·GPU 성능이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무엇보다 소음이 줄어드니 작업 집중도가 확실히 높아졌어요.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압축 공기 대신 드라이기로 불어도 될까요?
A: 절대 NO. 드라이기의 열기가 정전기 유발 + 부품 손상의 원인이 됩니다.

Q2. 청소 주기는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반년~1년에 1회 정도, 특히 여름철 전에 하면 좋습니다. 애완동물 털이 많은 환경이면 분기마다 체크하세요.

Q3. 팬을 직접 분해해서 청소해도 될까요?
A: 초보자라면 비추. 날개를 강제로 분리하면 축이 망가질 수 있어, 브러시+스프레이 조합으로 외부 먼지 제거만 추천합니다.


8. 꿀팁 정리

  • 브러시는 화장용 파우더 브러시 추천 (털이 부드럽고 정전기 없음)
  • 먼지 보호용 커버 장착 추천 (노트북 키보드 덮개, 데스크탑 먼지필터 등)
  • 청소 후 팬 작동 체크 필수 (비정상 소음이 들리면 재조립 필요)
  • 먼지 적게 쌓이게 하려면 컴퓨터를 바닥 대신 책상 위에 배치

9. 마무리하며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은 우리가 매일 쓰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런데 정작 내부 청소는 한 번도 안 해본 분들이 대다수죠.
이번 셀프 청소로 저처럼 기기 수명도 늘리고, 성능도 되살리며, 소음도 줄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준비물만 있으면 누구나 따라 할 수 있으니 꼭 한 번 도전해보세요!

반응형